Skip to content

Chapter 5 Telephone Networks

Published: at 오전 03:03

Table of contents

Open Table of contents

Telephone Networks

초기 telephone network의 모습이다.
그래서 새로운 전화기를 추가하면, 전화선을 mesh형태로 추가를 해야 했다.
그러면 토목 공사(땅을 파고, 케이블을 묶고)를 해야 하고, 많은 비용이 들었다.
그래서 한 가지 생각한 방법은 기계를 만들어, 그 기계에 전화기를 연결하는 것이었다.
그 기계를 switch(교환기)라고 불렀다.
만약에 한 전화기에 다른 전화기로 전화를 걸고 싶다면, 교환기를 거쳐야 했고, 교환기에 있는 사람이 그 전화를 선으로 연결해 주었다.
그리고 전화가 종료되면, 그 연결됐던 선을 다시 끊었다.
그래서 이것을 temporary connection이라고 불렀으며, 기계를 switch라고 하였다.
그런데 사람이 이 일을 하다 보니 힘들었다.
그래서 교환기에 software를 집어 넣고, 각 전화기에 번호를 부여했다.
예를 들어, 11번 전화기에서 13번 전화기로 전화를 걸면, 전자 교환기에서 자동으로 전화를 연결해 주었다.
그런데 전화 수요가 늘게 되면, 하나의 전자 switch로 전화를 감당할 수 없었고, 새로운switch를 두어서 해결했다.
그러나 계층을 두지 않고, 초기 telephone network의 전화기들 처럼 switch를 둔다면, 그때와 똑같이 mesh형태로 switch를 연결하는 사태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아래의 그림처럼 계층을 두었다.
학교 사무실에 있는 전화선을 쫓아 가면 600주년기념관이 나온다.
또 그 선에서 선을 따라가면 혜화 전화국이 나온다.
혜화 전화국에 switch(교환기)가 있다.(end office)
end office와 전화기 사이 선을 local loop 혹은 subscriber(가입자) line(선로)이라고 한다. Trunk는 (전화)국간 전송로(전화국-전화국)이다.
Trunk line은 고속 전송로이다.
local loop은 그렇지 않다.

LATAs

760(국번, 혜화 전화국 교환기의 번호)-0671(학과 사무실 번호) 이론적으로 하나의 국번에는 000~999번까지 가능하다.
그런데 실제로는 한 교환기가 여러 개의 국번을 갖고, 여러 개의 전화번호를 수용한다.

Points of Presence (POPs)

Signaling

Services provided by telephone networks

Digital Services

Dial-up Service

Modem Standards

Digital Subscriber Line

ASDL (Asymmetrical DSL)

Other DSL Technologies